사드 배치하면 유커 안 보내...中 관광 통제로 韓 압박
사드 배치하면 유커 안 보내...中 관광 통제로 韓 압박
  • 김현종 기자
  • 승인 2017.03.05 20: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광상품 판매 금지에 크루즈 경유 막아...道 '중국 관광객 감소 조짐'에 시장 다변화 등 대책 부심
중국 정부가 자국 여행사에 한국 관광 전면 중단을 지시한 가운데 5일 제주시 연동 바오젠거리가 한산한 모습을 보이 고 있다. < 임창덕 기자 kko@jejuilbo.net >

[제주일보=김현종‧홍수영‧이승현 기자] 중국 정부가 한국의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배치에 대한 보복 차원에서 한국 관광 금지령을 내리면서 제주 관광시장이 빙하기를 맞지 않을까 우려되고 있다.

한국 정부와 제주특별자치도 등은 관광시장 피해 최소화를 위한 대응 방안 마련에 나섰다.

중국의 한국 관광 금지령은 2012년 중국과 일본의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영유권 분쟁 당시 중국이 일본행 관광 상품을 전면 중단했던 사례와 유사하다는 분석이다.

▲관광 상품 판매‧크루즈 경유 금지=중국 국가여유국은 지난 1일 각 성과 직할시 여유국장들을 모아놓고 오는 15일부터 한국관광 상품 판매를 전면 금지하라는 지침을 내렸다.

중국은 여행사들에게 단체‧개인(자유) 한국관광 상품 판매 금지, 롯데 관련 상품 판매 금지, 온라인 판매 한국관광 상품 판매 종료 표시, 크루즈 한국 경유 금지 등 지침도 내렸다.

5일 제주도 등에 따르면 중국의 한국 관광 금지령은 북경 일대 여행사를 대상으로 이뤄진 가운데 향후 지역별 회의를 통해 전국에 확대 시달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중국인들의 제주 관광은 개별적으로 항공사를 통해 티켓을 구매해 이뤄지는 자유여행만 가능하게 된다.

제주도와 관광업계 관계자들은 “중국이 한국의 사드 배치에 절대 반대입장을 취하면서 센카쿠 영유권 분쟁에 버금가는 중차대한 국익 문제로 보고 한국을 압박하자는 의도”라며 “중국 정부의 강력한 의지로 현지 마케팅조차 할 수 없는 최악의 사태까지 우려된다”고 말했다.

▲중국 단체 관광객 감소 현실화=한국관광 금지령에 앞서 사드 배치로 인한 한중 관계 악화 이후 제주를 찾은 중국인 단체 관광객의 감소현상은 이미 현실화된 것으로 분석된다.

올해 중국인 관광객 내도 현황은 지난 2월 말 기준 36만4493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33만2894명에 비해 9.5% 증가했다.

그런데 이들 중국인 관광객의 내도 유형은 항공편 직항 16만8343명과 경유 5만800명, 크루즈 14만8699명으로 이 중 경유는 지난해 9만5360명보다 46.7% 급감했다. 이는 중국인 단체 관광객이 상대적으로 감소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중국의 한국 관광 금지령에 따른 여파도 가시화하고 있다.

관광업계 관계자는 “면세점이나 호텔 등 대형 시설은 아직 이렇다 할 피해가 없지만 바오젠거리 화장품가게나 성읍 등 관광지 음식점은 손님 감소를 체감하고 있다”며 “일부 식당은 하루 400~500명 중국인 손님을 받았는데 최근 20~30명까지 떨어진 곳도 있다”고 전했다.

▲개별 관광객 유치 등 대책 부심=제주도는 지난 3일 제주도청 삼다홀에서 유관기관‧단체와 함께 긴급 대책회의를 열고 중국의 한국관광 금지령에 따른 대책을 논의했다.

제주도는 종합상황실을 운영하면서 매주 1회 제주관광공사와 제주도관광협회 등이 참석하는 임원진 회의를 열어 중국 동향과 관광업계 현황을 공유하고 대응책을 수립하기로 했다.

전성태 제주도 행정부지사는 “제주도는 다른 지역보다 관광산업 비중이 높은 데다 중국인 관광객이 80%를 넘는다”며 “관련 업계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현 상황에서 마케팅이 가능한 중국시장을 공략하면서 관광시장 다변화 방안 등을 모색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국 정부는 중국이 여행사를 통한 한국 관광을 전면 금지한 것에 대응해 중국 내 공관을 통해 한국과 제주 방문을 희망하는 중국인에게 개별 비자를 직접 접수‧발급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관광과 콘텐츠 분야를 총괄하는 종합대책반을 구성해 중동‧동남아 등 시장 다변화와 개별관광객 유치 노력 확대, 업계 피해 대책 검토 등을 추진한다.

한편 제주도는 6일 오전 도청 삼다홀에서 원희룡 제주도지사 주재로 대책회의를 마련한다.

 

김현종 기자  tazan@jejuilbo.net

Tag
#N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